신체적 장애 2
시각장애 k1 「장애인복지법」 보건복지부 고시에 의하면 시력장애 또는 시야결손 장애로 시력에 제한을 받게 되는 경우를 말한다. 시력은 안경, 콘택트렌즈를 포함한 모든 종류의 시력 교정법을 이용하여 측정된 최대교정시력을 기준으로 한다. 지적 기능에 시각적 경험의 범위 및 종류의 제한과 환경과의 상호 작용의 제한으로 영향을 받을 수 있으며, 충분한 정보를 접할 수 없기 때문에 학습상 많은 문제가 있다. 언어 습득 이전에 장애를 입은 경우 시각적 모방이 불가능하여 언어 발달이 늦게 된다. 시각장애인에게 있어 크기, 형태, 공간 개념은 촉각을 통해서만 형성될 수 있다. 시각장애의 원인은 운동, 전쟁, 교통사고, 폭발물, 화공약품, 의약품, 물리적 자극, 방사선, 장난감, 각종 이물질 등에 의해 생긴 외상, 약물..
더보기
장애유형 1
신체적 기능의 장애 1. 지체장애 ① 정의 : 지체장애란 지체부자유 상태, 즉 신체의 골격, 근육, 신경증 어느 부분에 질병이나 외상으로 인한 기능장애가 영구적으로 남아 있는 경우를 말한다. 주로 운동기능 장애, 감각장애의 상태로 그 증상이 나타난다. ② 원인 가. 신체적 원인 : 장애가 출산 전인 태아 때 이미 발생한 것을 말한다. 대표적으로는 유산, 염색체 이상, 심한 대사장애, 임신 중 흡연, 약물 복용, 방사선 조사, 매독 또는 풍진, 감염, 조산 또는 난산, 혈액형 부조화, 고령 임신 등을 들 수 있다. 나. 후천적 원인 : 출산 후의 장애를 말하는데 대부분의 지체장애는 후천적 원인에 의한다. 특히 사회활동 중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다. 후천적 원인으로는 외상이 중요시되어 왔으나 선진국에서는..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