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한 복지 썸네일형 리스트형 장애인의 생애 주기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장애인의 성장 과정에 절대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장애아동의 성장 시기에 적합한 과업과 사회복지서비스가 적절하게 어우러짐으로써 장애인의 사회화는 훨씬 수월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장애아동은 비장애 아동에 비해 성장과업이 더 복잡하고 어렵기 때문에 특정 시기의 성장 과정에 따른 필수적 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장애아동의 성장에 따른 단계에 적합하고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가 마련되어야 한다. 장애아동의 성장에 따른 단계에 적합하고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가 포괄적으로 전개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성장 시기에 연계하여 지속적으로 제공되는 것이 중요하다. 1. 영유아기 (0~6세) 영유아기는 모든 학자들이 공통적으로 인성이나 품성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로 보고 있다. 이 시기에 영유아.. 더보기 장애인 복지 전달 체계 1. 전달체계의 개념 장애인복지서비스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전달체계는 장애인의 욕구 증대와 문제 해결을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서비스 전달체계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조직과 서비스를 이용하는 수요자를 연결해 주는 조직적이고 체계적인 장치를 의미하며, 서비스의 제공 방법과 절차에 관련된 영역으로 서비스 전달망이라고 볼 수 있다. 전달체계는 서비스의 제공방법에 관한 조직적 체계라고 할 수 있으며, 장애인 복지정책과 서비스를 장애인에게, 무엇을, 어느 정도로, 어떻게 제고하느냐로 구성된다. 이러한 조직적 체계는 일반적으로 공공 전달체계와 민간 전달체계로 구분할 수 있다. 공공전달체계의 중앙부처는 보건복지부, 고용노동부, 교육부가 주로 해당된다. 지방 수준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사회복지여성국, 지방보훈청, 지방교용노.. 더보기 장애인과 함께 사는 법 오늘 영풍문고에 들려 책 한 권 발견했습니다. 올해 출판된 책인데 작고 얇고 구석에 꽂혀 있어서 눈에 띄지 않았던 주황색 표지를 한 작은 책. 책장을 넘기는 데 딱 읽기 싫은, 지루할 것 같은, 뭘로 표현을 해볼까요? 너무나 소박하고 검소하다고 할까요? 꾸미지 않은 장식 악세사리는 아예 1도 없고, 글로 시작해서 글로 끝맺음을 한 p176, 11.5 ×18.5 사이즈! 책은 작지만 너무나 큰 사람이야기가 담겨있었습니다. 오후에 차를 한 잔하면서 책을 읽기 시작했는데요. 그 자리에서 순식간에 완독을 했습니다. 마시던 차는 식어 있었구요. 글로 시작해서 글로 마무리한 이 자그마한 책 페이지 페이지마다 제가 모르는, 알 수도 없는 이야기, 그리고 감동이 담겨져 있었습니다. 저절로 눈물이 흐르고 있는 눈에 손수.. 더보기 우리나라 장애인 실태 1. 추정 장애인 수와 원인 2017년 12월 당시 우리나라의 추정 장애인 수는 약 267만 명으로 총인구(5178여 명) 중 장애인 인구를 바탕으로 추정된 장애 출현은 약 5.39%이다. 「장애인 복지법」에 의한 등록 장애인 수는 약 255만명으로 총인구 대비 약 4.9%를 차지하였고, 2016년(251만 명) 대비 3만여 명(3만 4586명) 증가한 수치이다. 등록 장애인 중 남성은 58%(2017년 148만명), 이며 여성은 42%(2017년 107만 명)이다. 15개 장애유형 중 2017년 12월 현재 지체 장애 비율이 높으나 (49.3%) 지속 감소하는 반면, 발달 장애인(지적장애, 자폐성 장애)은 증가 추세에 있다. 인구 고령화에 따라 65세 이상 고령층 장애인 수도 지속 증가하여 등록 장애인.. 더보기 이전 1 ··· 4 5 6 7 8 9 10 11 다음